논리로 정리하고, 인사이트로 기록합니다.

다양한 서비스의 인사이트 및 기획역량 등 기획자로서의 시야를 넓혀가는 공부의 흔적입니다.

IT기획자로서의 경험/[스터디] 서비스분석

IT 서비스 기획자란? 주요 역할과 필요 역량 정리

NORI.log 2025. 2. 26. 23:04

서비스 기획자의 정의 및 범위

서비스 기획자는 IT 기반의 서비스나 플랫폼을 기획하고 운영하는 전문가입니다. 사용자의 요구를 분석하고, 비즈니스 목표에 맞는 서비스를 설계하여 개발팀, 디자인팀과 협업하여 최적의 IT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서비스 기획자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다루는 서비스의 성격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ChatGPT 이미지 - 서비스 기획자의 유

 

📌 서비스 기획자의 주요 유형

  • IT 서비스 기획자: IT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서비스 기획
  • 웹 및 모바일 기획자: 웹사이트 및 모바일 앱 기획
  • 플랫폼 기획자: 플랫폼 비즈니스 및 생태계 설계
  • 이커머스 기획자: 온라인 쇼핑몰 및 커머스 서비스 기획
  • O2O 서비스 기획자: 온·오프라인 연계 서비스 기획

이처럼 서비스 기획자는 각기 다른 영역에서 활동하지만, 공통적으로 사용자의 문제를 해결하고, 비즈니스 목표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기획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서비스 기획자의 주요 역할 (애자일 프로세스 기반)

서비스 기획자는 애자일(Agile)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각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ChatGPT 이미지 : 애자일 프로세스

1. 아이디어 도출 및 기획 (Discovery & Planning 단계)

  • 사용자 리서치 및 문제 정의
  • 시장 조사 및 경쟁사 분석
  • 서비스 컨셉 기획 및 MVP(Minimum Viable Product) 설정

2. 요구 사항 정의 및 백로그 작성 (Backlog Refinement 단계)

  • 핵심 기능 정의 및 우선순위 설정
  • 사용자 스토리(User Story) 작성
  • 개발팀과 협력하여 기능 상세화 및 기술적 타당성 검토

3. UX/UI 설계 및 프로토타이핑 (Design 단계)

  • 사용자 플로우 및 와이어프레임 제작
  • 프로토타입을 활용한 사용자 피드백 수집
  • UX/UI 개선을 위한 디자인팀 협업

4. 스프린트 계획 및 개발 협업 (Sprint Planning & Development 단계)

  • 스프린트 목표 설정 및 개발 일정 조율
  • 개발팀과 협업하여 기능 구현 진행
  • 기획 변경 사항 발생 시 신속한 조정 및 의사결정

5. 테스트 및 서비스 개선 (Testing & Iteration 단계)

  • QA(품질 검토) 및 테스트 진행
  • 사용자 데이터 분석 및 피드백 반영
  • 서비스 성과 모니터링 및 지속적인 기능 개선

6. 런칭 및 운영 (Release & Maintenance 단계)

  • 서비스 출시 및 성과 모니터링
  • 운영팀과 협업하여 서비스 안정성 유지
  • 신규 기능 추가 및 장기적인 제품 로드맵 수립

서비스 기획자가 갖춰야 할 필수 역량 및 관련 자격증

서비스 기획자는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는 만큼, 여러 역량을 갖추어야 합니다.

다음은 각 역량과 이를 증명할 수 있는 대표적인 자격증입니다.

 

ChatGPT 이미지 - 서비스 기획자의 일하는 모

1. 논리적 사고 및 문제 해결 능력

  • 문제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해결 방법을 단계적으로 고민하는 능력
  • 여러 해결책을 비교하고,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선택하는 능력
  • 사용자 관점에서 문제를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사고력

2. 데이터 분석 및 의사결정 능력

  • 서비스 사용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 행동을 이해하는 능력
  • 데이터를 기반으로 서비스 개선 방향을 도출하는 능력
  • 복잡한 데이터 대신 핵심적인 지표(KPI)를 파악하는 실무 감각
  • 추천 자격증: SQLD(SQL 개발자), Google Analytics Certification, 데이터 분석 준전문가(ADsP)

3. UX/UI 이해 및 사용자 중심 사고

  • UX/UI 기본 원칙 이해 및 기획 적용
  • 사용성 테스트 및 사용자 피드백 분석
  • 와이어프레임 및 프로토타입 제작 능력
  • 추천 자격증: Nielsen Norman Group UX Certification

4. 기획 문서 작성 및 도식화 능력

  • 기획서를 명확하고 논리적으로 작성하는 능력
  • 서비스 플로우차트, 와이어프레임 등 시각적 자료 제작 역량
  • 추천 자격증: 정보처리기사, Power BI Certification

5. 프로젝트 관리 및 일정 조율 능력

  • 애자일(Agile) 및 워터폴(Waterfall) 프로젝트 관리 방식 이해
  • Jira, Confluence 등 협업 툴 활용
  • 일정 관리 및 팀 간 업무 조율 능력
  • 추천 자격증: PMP(Project Management Professional), CSM(Certified Scrum Master), PMI-ACP(Agile Certified Practitioner)

6. 기술 이해 및 개발 협업 능력

  • API, 데이터베이스, 클라우드 등의 기본 개념 이해
  • 개발 프로세스 및 운영 방식 이해
  • 개발팀과 원활한 협업 및 커뮤니케이션 능력
  • 추천 자격증: AWS Certified Cloud Practitioner, Google Cloud Associate

마무리

ChatGPT 이미지 - Thank for realding

 

서비스 기획자는 기술과 비즈니스의 접점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단순히 아이디어를 내는 것이 아니라, 이를 실행 가능한 기획으로 구체화하고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합니다.

서비스 기획자가 되고 싶다면 위의 핵심 역량을 차근차근 준비하고,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며 실무 경험을 쌓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앞으로도 서비스 기획 관련 실무 팁을 계속 소개할 예정이니, 블로그를 즐겨찾기 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