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로 정리하고, 인사이트로 기록합니다.

다양한 서비스의 인사이트 및 기획역량 등 기획자로서의 시야를 넓혀가는 공부의 흔적입니다.

트렌드를 읽다/트렌드코리아2025

트렌드코리아 2025 키워드 해설 : Very Ordinary (#아보하) 가 UX 설계를 바꾸는 이유

NORI.log 2025. 4. 11. 15:22

 

평범함의 가치, 다시 보기

 

2025년 트렌드코리아 두 번째 키워드는 Nothing Out of the Ordinary : Very Ordinary (#아보하) 이다.

이 키워드는 평범한 일상이 오히려 안정감을 주고, 반복되는 루틴 속에서 삶의 의미를 발견하려는 소비자의 움직임을 반영한다.

과거에는 비범함, 차별화, 혁신이 중심에 있었지만, 이제는 평범한 하루를 꾸준히 잘 살아내는 것 자체가 하나의 트렌드가 된 시대이다.

 

 


 

📌 Neo-Currency Society란?

 

'#아보하' 는 아무것도 특별하지 않아도 괜찮은 하루 라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단조로움 속에서도 정서적 안정, 반복 가능한 루틴, 사소한 만족의 가치를 발견하는 소비자 흐름을 뜻한다.

이 키워드는 불확실성과 과잉 자극의 시대 속에서 '덜어내고 지속하는 삶'에 대한 욕망을 반영하며, MZ세대를 포함한 전 세대에게 확산되고 있다.

 


 

1️⃣ 일상의 반복, 정서적 안정

아보하 흐름은 특별함을 추구하지 않는 대신, 일상의 안정감을 강조한다.

정기구독 서비스, 루틴 콘텐츠, 1일 1기록 챌린지 등 계속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소비가 늘어나는 것도 이와 같은 맥락이다.

 

<예시>
독서 루틴 챌린지, 루틴형 플래너 앱, 마이크로 습관 형성 콘텐츠 등

 


2️⃣ 선택 피로를 줄이는 UX 구조

사용자들은 이제 많이 보여주는 것보다 '고민할 필요없이 고르게 해주는 것'을 선호한다.

아보하 키워드는 UX 설계에서도 중요한 변화 포인트를 보여주고 있다.

 

  • 다 보여주는 큐레이션 → 지속 가능한 루틴을 제안하는 큐레이션
  • 정보 과잉 UI → 간결하고 예측 가능한 흐름 구성
  • 다양성 강조 → 반복 사용을 고려한 심플한 구조 설계

출처 : AI 생성이미지

 

3️⃣ 컨텐츠보다 흐름 중심의 서비스 설계

아보하는 컨텐츠 자체의 자극보다, 그 컨텐츠를 어떻게 소비할 것인가에 초점을 둔다.

이는 컨텐츠 전략 뿐만 아니라 서비스 전체 설계에도 영향을 준다.

 

  • 강한 인상보다는 편안함을 주는 반복 구조
  • 다양성보다는 한 가지를 반복하게 하는 UX 설계
  • 경쟁보다 기록 중심의 마일드한 성취감 제공

 

<예시>
- 밀리의 서재 '1일 1밀리' 출석 보상형 UI
- 챌린저스의 '루틴 달성' 리워드
- 하루습관 앱의 '조용한 진동 알림'

 


 

 

💡IT 서비스 기획자 관점에서 보는 Very Ordinary

 

아보하는 '무난함'이 아닌 '꾸준함' 과 '지속성' 을 중심에 두는 기획 사고 전환이다.

디지털 피로감이 증가한 시대일수록, 기획자는 사용자의 반복 환경에 대한 피로를 줄이고, 심리적 예측 가능성을 설계하는 능력이 중요해진다.

 

  • 심플하지만 끊김없는 사용자 흐름
<예시> 토스 앱
- 불필요한 단계없이 이체, 조회 등의 주요 기능으로 바로 이어지는 플로우 제공
- 사용자가 UI를 배우지 않아도 될 정도로 직관적인 흐름 설계
  • 시각적 자극보다 의미있는 루틴 구성
<예시> 챌린저스
- 시각적 피드백은 최소화되어 있지만, 매일 체크하는 루틴이 심리적 만족을 줌
- 시끄럽지 않은 인터페이스 안에서 의미 중심 소비를 유도
  • '성장' 이 아닌 '유지' 를 위한 UX 설계
<예시> 하루습관 앱
- 매일 목표를 높이기보다 소소한 유지형 루틴을 반복하게 설계
- 미션 완료 시 과한 보상보다 조용한 칭찬이나 진동으로 응답 → 지속성 유지

 

 


 

✍️ 마무리하며

 

Very Ordinary는 트렌드의 반전이다.

눈에 띄지 않는 것이 오히려 선택받는 시대, 기획자에게도 '잘 유지되는 UX 구조'를 만드는 능력이 중요한 자산이 된다.

기획자는 이제 자극을 설계하기보다 사람들이 조용히 게속해서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설계해야 한다.

 


 

다음 글에서는 < All About the Toppings : 토핑경제 > 를 더욱 깊게 분석해보려고 한다.

그럼 오늘의 공부 끝!!